1. 크롬 실행 → Settings


2. F12 누르면 우측에 창에 설정(Setting) 메뉴로 이동 후 자바사용안함(Disable JavaScript) 항목에 체크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p dsp 차이  (0) 2015.08.16
터미널 서비스 포트 번호 변경  (0) 2015.07.28
Internet Explorer 10 삭제 cmd명령어  (0) 2015.07.28
MS, 윈도우 10, 빌드 10240, RTM  (0) 2015.07.19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DSP = C-OEM (Delicery Service Product) 는 초기 설치PC와 일체형 정품소프트 웨어로, 설치 진행시 구매 버전과 설치버전이 동일해야 하고, 스티커를 해당PC에 필히 부착 되어야 공문,감사,단속에 정품 으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FPP : (Full Package Product) 는 구매 수량에 제한이 없는 Box 형태의 제품으로, 설치 CD 와 라이선스 시리얼키를 제공받게 됩니다

PC이동설치가 가능하지만 제품 수량별 시리얼키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며,구매시점의 버전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업그레이드나 하위버전은 사용 할 수 없습니다.

공문,감사,단속에 정품으로 인정 받으려면 설치수량과 Box 보유현황을 비교 하므로,제품과 시리얼 키 보관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는 단점 이 있습니다.

원격 포트 변경

1. 시작 => 실행 => regedit 레지스트 편집기를 실행

2.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ds\rdpwd\Tds\tcp로 이동

3. PortNumber를 열고 10진수를 선택하시고 원하시는 포트번호를 입력

4.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inStations\RDP-Tcp로 이동

5. PortNumber를 열고 10진수를 선택하시고 원하시는 포트번호를 입력

6. PC 재부팅

 

※서버에 원격접속이 가능한 터미널 서비스를 기본포트로 사용하는것은 보안상으로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기본 포트는 크레커들의 찔러보기식 공격을 많이 하기 때문에 서버의 Administrator 권한 유출방지를
기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터미널 서비스 포트는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우클릭 차단 해제  (0) 2015.12.05
fpp dsp 차이  (0) 2015.08.16
Internet Explorer 10 삭제 cmd명령어  (0) 2015.07.28
MS, 윈도우 10, 빌드 10240, RTM  (0) 2015.07.19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시작 → 실행 → cmd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아래 내용 입력

FORFILES /P %WINDIR%\servicing\Packages /M Microsoft-Windows-InternetExplorer-*10.*.mum /c "cmd /c echo Uninstalling package @fname && start /w pkgmgr /up:@fname /norestart"


실행중 오류 화면 무시

 

9버전은 -*9 으로 수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p dsp 차이  (0) 2015.08.16
터미널 서비스 포트 번호 변경  (0) 2015.07.28
MS, 윈도우 10, 빌드 10240, RTM  (0) 2015.07.19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SQL2012(코드명 Denali) 동영상 강좌  (0) 2015.07.04

RTM 아닌 RTM 같은 빌드10240 입니다.


기사보고 바로 설치 해봤습니다.


많이 사용안해봤지만 8.1이랑 비슷한 느낌입니다.


기사: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23847



기존 윈도우8.1에서 업데이트으로 설치 진행했습니다.


설치완료 후 셋팅화면


로그인 화면


신규 앱 설치화면


설치완료 후 바탕화면


시작버튼


알람창


날짜 및 시간


인터넷 연결


시스템 정보


윈도우 파일탐색기


스토어


Microsoft Edge (생각보다 빠르고 좋습니다.)


설정 (시작 → 설정)


계산기


검색 (작업표시줄에 검색 버튼있습니다. 아직 활성화가 안되어 있습니다.)


작업보기 (멀티 데스크톱 기능)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Win2008 R2 초급강좌] 1. 2008 서버 설치와 소개
[Win2008 R2 초급강좌] 2. 서버관리자 소개
[Win2008 R2 초급강좌] 3. Hyper-V 소개와 설치
[Win2008 R2 초급강좌] 4. Hyper-V 스냅숏
[Win2008 R2 초급강좌] 5. 나만의 네임서버구축 - DNS
[Win2008 R2 초급강좌] 6.정말 쉬워진 액티브디렉토리-AD구축
[Win2008 R2 초급강좌] 7.정말 쉬워진 액티브디렉토리-AD조인
[Win2008 R2 초급강좌] 8. 강력한 암호정책 - AD PSO
[Win2008 R2 초급강좌] 9. AD의 백업과 복원-AD Snapshot
[Win2008 R2 초급강좌]10.POWERSHELL을 이용한 서버관리
[Win2008 R2 초급강좌]11.POWERSHELL을 이용한 모니터링
[Win2008 R2 초급강좌]12.서버관리의 기본-백업과 Wbadmin
[Win2008 R2 초급강좌]13.보안이 최고!!- Server Core
[Win2008 R2 초급강좌]14.간단한 웹서버 구축 - IIS7.5
[Win2008 R2 초급강좌]15.간단한 FTP 구축 - IIS7.5
[Win2008 R2 초급강좌]16.원격 데크크톱 서비스 사용
[Win2008 R2 초급강좌]17.원격지의 어플리케이션을 내PC에서 - RemoteApp
[Win2008 R2 초급강좌]18. Windows Media Service
[Win2008 R2 초급강좌]19.내맘대로 공유폴더 설정-분산파일 시스템
[Win2008 R2 초급강좌]20.스토리지가 꽁짜라고?? - Microsoft iSCSI Software Target

출처: http://www.sqler.com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Explorer 10 삭제 cmd명령어  (0) 2015.07.28
MS, 윈도우 10, 빌드 10240, RTM  (0) 2015.07.19
SQL2012(코드명 Denali) 동영상 강좌  (0) 2015.07.04
메인보드 확인방법  (0) 2015.07.04
윈도우 부트섹터 최적화  (0) 2015.07.04
SQL2012(코드명 Denali) 시리즈 동영상 강좌 리스트
[SQL2012 동영상 강좌] 1. 코드명 Denali 설치 방법
[SQL2012 동영상 강좌] 2. SSMS 접속 및 간단한 쿼리 실행
[SQL2012 동영상 강좌] 3. SQL Server 의 MDF, LDF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SQL2012 동영상 강좌] 4. DDL 1탄: 테이블 생성
[SQL2012 동영상 강좌] 5. DDL 2탄: 쿼리를 이용한 테이블 컬럼 추가 및 삭제
[SQL2012 동영상 강좌] 6. Primary key와 Unique 제약조건
[SQL2012 동영상 강좌] 7. DML 1탄 INSERT
[SQL2012 동영상 강좌] 8. DML 1탄 INSERT(identity 속성)
[SQL2012 동영상 강좌] 9. Sequence
[SQL2012 동영상 강좌] 10. pubs, northwind Database 예제 설치
[SQL2012 동영상 강좌] 11. SELECT(단일 테이블)
[SQL2012 동영상 강좌] 12. SELECT(JOIN)
[SQL2012 동영상 강좌] 13. UPDATE, DELETE 절
[SQL2012 동영상 강좌] 14. DISTINCT, UNION, UNION ALL 키워드
[SQL2012 동영상 강좌] 15. ORDER BY, GROUP BY, HAVING
[SQL2012 동영상 강좌] 16. SubQuery(서브쿼리)
[SQL2012 동영상 강좌] 17. 뷰에 대한 이해 및 생성, 수정, 삭제
[SQL2012 동영상 강좌] 18. 저장 프로시저에 대한 이해, 생성, 수정, 삭제
[SQL2012 동영상 강좌] 19. 인덱스에 대한 이해
[SQL2012 동영상 강좌] 20. 클러스터드 인덱스와 넌 클러스터드 인덱스
[SQL2012 동영상 강좌] 21. 트랜잭션에 대한이해
[SQL2012 동영상 강좌] 22. 트랜잭션의 격리수준 4가지
[SQL2012 동영상 강좌] 23. 잠금에 대한 이해
[SQL2012 동영상 강좌] 24. 백업과 복구에 대한 이해(풀백업, 차등백업, 트랜잭션 로그 백업)
[SQL2012 동영상 강좌] 25. 백업과 복구 전략
[SQL2012 동영상 강좌] 26. 커서란?

출처: http://www.sqler.com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윈도우 10, 빌드 10240, RTM  (0) 2015.07.19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메인보드 확인방법  (0) 2015.07.04
윈도우 부트섹터 최적화  (0) 2015.07.04
덤프 파일 분석  (0) 2015.07.04

윈도우에서 메인보드 확인방법

시작 > 실행 > cmd > wmic baseboard get product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SQL2012(코드명 Denali) 동영상 강좌  (0) 2015.07.04
윈도우 부트섹터 최적화  (0) 2015.07.04
덤프 파일 분석  (0) 2015.07.04
SID  (0) 2015.07.04

윈도우 8, 윈도우 7,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XP 에서 부트섹터를 최적화 하는 방법입니다.

1.시작-실행-CMD

도스창에서 defrag c: /b
(부트영역 조각모음 명령어 입니다.)

2.재부팅.

자신의 부팅속도가 느려졌다고 생각되면 한번씩 실행해 주시면 좋습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SQL2012(코드명 Denali) 동영상 강좌  (0) 2015.07.04
메인보드 확인방법  (0) 2015.07.04
덤프 파일 분석  (0) 2015.07.04
SID  (0) 2015.07.04

windows에서 블루스크린이 발생하면 이벤트에 오류 정보가 등록되고 C:\Windows\Minidump 폴더 아래에 dmp 파일 날짜기준으로 생성된다.

이 덤프파일을 그냥 열어보면 깨져보이므로 별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사용해본 파일은 dumpchk.exe 파일과 windbg.exe 파일이다
구하는 방법은 2가지이다.

1.
Windows XP 설치 CD 내 support\tools 내의 setup.exe 파일을 실행하여 구할 수 있다.
지원도구를 설치하면 Program Files\Support Tools 폴더에 설치된다.
이 방법으로는 dumpchk.exe 파일을 구할 수 있다.

2.
Debugging Tool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Program Files\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 내에 dumpchk.exe 파일과 windbg.exe 파일 둘다 구할 수 있다.


사용법은 dumpchk.exe 파일이 쉽다.

[사용법]
dumpchk.exe -v "덤프파일명.dmp"

windbg -y srv*c:\sym
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i c:\windows\i386 -z "덤프파일명.dmp"

windbg 은 프로그램 창이 뜨면서 내용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2008 R2 초급 강좌 리스트  (0) 2015.07.04
SQL2012(코드명 Denali) 동영상 강좌  (0) 2015.07.04
메인보드 확인방법  (0) 2015.07.04
윈도우 부트섹터 최적화  (0) 2015.07.04
SID  (0) 2015.07.04

+ Recent posts